본문 바로가기
정보

기초연금 수급자격 완벽정리! 2025년 기준부터 신청방법까지

by follow-intuition 2025. 7. 7.
반응형

만 65세 이상 국내 거주자라면 연간 소득인정액(단독가구 최종 기준 2,280,000원 이하)을 충족 시 최대 월 342,51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복지로·정부24) 및 오프라인으로 연중 신청 가능하며, 대리 신청도 가능합니다.

 

기초연금 수급자격 완벽정리! 2025년 기준부터 신청방법까지

 

2025년부터 소득인정액 산정 완화, 수급희망 이력관리 제도 강화, 부부 기준 변경 등 정책 개편에 따라 수급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1. 기초연금이란? 제도 개요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저소득 노인에게 최소한의 노후 생활비를 정부가 지원하는 대표적인 사회보장제도입니다.

 

2025년 기준, 단독가구 최대 월 342,510원, 부부 합산 기준으로는 감액 방식이 적용됩니다. 이는 빈곤율 완화와 안정된 노후 보장을 위한 제도입니다.

 

2. 기초연금 수급자격 요건

 연령 및 국내 거주

  • 만 65세 이상이며,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
  • 주민등록에 따른 국내 거주자 (재외국민 포함 제외) 
  • 신청 시 본인이 아닌 대리인도 가능 (8촌 이내 친족 등)

 소득인정액 기준

  • 단독가구: 월 2,280,000원 이하, 부부가구: 월 3,648,000원 이하
  • 소득인정액 = 근로·연금소득 + 금융·부동산 자산(환산)
  • 2025년부터는 비동거 직계교육비·의료비 공제 확대, 가정폭력 피해 사실이혼자 인정 등 산정 완화 

 

3. 2025년 기준 연금액 및 감액 구조

기준연금액

  • 2025년 기준: 월 최대 342,510원

감액 구조

  • 국민연금 수령자 또는 소득 상위자는 감액 시행
  • A급여 기반 감액, 혹은 국민연금 급여액 연계 방식 적용 
  • 부부 동시에 수급 시, 감액 기준 테이블 참고 해야 합니다.

 

4. 신청 시기와 신청 채널

 

  • 언제: 연중 신청 가능. 다만, 생일이 속한 달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 
  • 어디서
    • 오프라인: 읍·면·동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
    • 온라인: 복지로(bokjiro.go.kr), 정부24(gov.kr)
    • 찾아가는 신청: 신체 불편 시 공단 지사 방문 신청 가능 

복지로 기초연금 신청 바로가기

 

5. 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

  1.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2. 통장사본 (본인 계좌, 부부가 동의 시 1인만 제출)
  3. 배우자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배우자 있으면 필수)
  4. 전·월세 계약서 (해당 시)
  5. 기타 작성 서식: 신청서, 소득·재산 신고서, 수급희망 이력신청서 등  
  6. “정보시스템 조회 불가” 시 추가 자료 요구 가능
  • 대리 신청: 8촌 이내 친족, 사회복지시설장, 법정대리인 등 가능
  • 온라인 신청 시 신청서 작성, 공인인증 로그인(금융인증 등) 필요

 

6. 수급희망 이력관리 제도란?

 

  • 2025년부터 부적합 결정 시에도 5년간 이력 자동관리
  • 추후 소득·재산 변화 확인 시 신청 가능 안내 발송 

 

 

7.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답변
재외국민인데 수급 가능한가요? 재외국민용 주민등록자는 신청 제외
국민연금 받는데 기초연금 감액되나요? 네, 국민연금 급여액이 크면 A급여 방식 감액 적용 
배우자만 신청할 수 있나요? 배우자가 없거나 자격 미달 시, 단독 신청도 가능
온라인 신청 후 언제 받나요? 처리 완료 다음 달부터 지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