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0일부터 기존 ‘정부24’가 ‘정부24 플러스’로 개편되며, 국민 누구나 맞춤형 복지·지원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국민비서, 복지멤버십, 정책정보 등을 통합하여 더 직관적이고 간편한 행정서비스 제공이 핵심입니다.
이 글에서는 달라진 점과 활용법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정부24 플러스란 무엇인가요?
2. 기존 정부24와 무엇이 달라졌나요?
3. 주요 기능: 국민비서 · 복지멤버십 통합
4. 정부24 플러스 활용 방법과 앞으로의 변화
1. 정부24 플러스란 무엇인가요?
정부24 플러스는 2025년을 기점으로 기존 ‘정부24’가 전면 개편되어 탄생한 통합형 정부서비스 플랫폼 입니다. 국민들이 흩어져 있던 다양한 공공정보와 민원서비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특히 복지, 행정, 정책정보 등을 하나의 서비스 안에서 연결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2. 기존 정부24와 무엇이 달라졌나요?
기존 정부24는 서비스는 많았지만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웠던 점이 단점이었습니다. 정부24 플러스에서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국민 중심의 서비스 구조로 개편되었고, 주요 기능들이 통합되고 재배치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서비스 찾기’ 기능에서는 단순 키워드 입력만으로도 나에게 맞는 정부지원사업이나 민원정보를 자동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24+에서 한 번만 로그인하면 복지로와 고용24 등 여러 기관의 서비스를 추가 인증 없이도 이용 가능합니다.
항목 | 기존 정부24 | 정부24 플러스 |
---|---|---|
서비스 구조 | 메뉴 복잡, 서비스 분산 | 통합된 메뉴, 맞춤형 제공 |
주요 기능 | 단순 민원 조회·신청 중심 | 복지멤버십·국민비서 통합, 정책 정보 제공 |
인증 방식 | 공동인증서 위주, 제한적 로그인 | 간편인증, 생체인식 등 다양한 로그인 지원 |
이용자 경험 | 정보 찾기 어려움 | AI 기반 추천, 직관적 검색 |
모바일 최적화 | PC 환경에 초점 | 모바일 UI 개선 및 접근성 강화 |
3. 주요 기능: 국민비서 · 복지멤버십 통합
이번 개편에서 주목할 점은 국민비서 알림 서비스, 복지멤버십 정보, 정책정보 포털 기능이 하나로 통합됐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내 상황에 맞는 복지정보를 추천받고 신청 기한이나 필요 서류 알림도 자동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복지멤버십에 가입한 사용자는 정부24 플러스에서 더 정확하고 빠른 맞춤형 혜택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정부24 플러스 활용 방법과 앞으로의 변화
정부24 플러스는 PC뿐 아니라 모바일 접근성(7월 14일 개편)도 대폭 강화되어 스마트폰으로도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AI 기반 분석을 통해 더 개인화된 정책 추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이며 국민 누구나 복잡한 정부제도 속에서 길을 잃지 않고 필요한 서비스를 찾아갈 수 있게 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근로장려금 신청 자격, 기간, 지급일까지 총정리 (0) | 2025.07.09 |
---|---|
2025 안양시 청년 이사비 신청 방법|전입 신고만 해도 50만원! (0) | 2025.07.09 |
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방법 및 발급, 사용처 완벽 정리 (0) | 2025.07.09 |
2025년 청와대 관람신청 방법 총정리 (0) | 2025.07.08 |
2025 평생교육이용권 신청방법·자격 총정리|최대 35만원 지원받는 법 (0) | 2025.07.08 |
기초연금 수급자격 완벽정리! 2025년 기준부터 신청방법까지 (0) | 2025.07.07 |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금액·신청기간 총정리 (0) | 2025.07.06 |
2025년 구직급여 수급조건과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