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2025 재산세 납부일 조회 및 납부 방법 총정리

by 정보캐는남자 2025. 7. 17.
반응형

재산세 납부일 알아보기

 

재산세 납부일은 주로 7월과 9월에 있으며, 부동산·건축물·토지 보유자라면 누구나 해당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재산세 과세 대상, 납부기한, 조회 방법, 그리고 정부24·위택스를 통한 간편 납부 방법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모바일·온라인 납부, 분할납부, 자동이체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편리하게 납부하는 방법을 지금 확인해보세요.

 

 


 

1. 2025년 재산세 납부 대상과 과세 기준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건물·토지를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이 날짜를 기준으로 해당 부동산의 소유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납세 의무가 결정됩니다.

 

  • 과세 대상: 주택, 건축물, 토지, 선박, 항공기 등
  • 납세자: 과세 기준일인 6월 1일 현재 부동산 소유자
  • 세율: 재산 종류와 공시가격에 따라 상이 (보통 0.1%~0.4%)

주택은 1가구 1주택인 경우 세액공제 혜택이 있으며, 공시가격이 9억 원 이하인 경우 혜택이 더 큽니다.

 

2. 재산세 납부일은 언제? (7월, 9월 정리)

재산세는 일반적으로 연 2회에 나누어 부과되며, 항목별로 달라집니다.

과세 대상 납부 시기
주택 1/2, 건축물, 선박, 항공기 7월 16일 ~ 31일
주택 나머지 1/2, 토지 9월 16일 ~ 30일

※ 1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7월에 전액 일괄 부과

 

3. 재산세 조회 방법|정부24, 위택스 활용법

정부24위택스를 통해 본인 명의의 부동산 재산세를 빠르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정부24 조회 방법

  1.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2. 검색창에 ‘재산세’ 입력 → ‘지방세 납부’ 선택
  3.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4. 납부할 세금 목록 확인

정부24 바로가기

2. 위택스 조회 방법

  1. 위택스 접속
  2. ‘지방세 조회납부’ 클릭
  3.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
  4. 납부 내역 및 고지서 확인 가능

위택스 바로가기

 

4. 재산세 납부 방법|온라인, 모바일, 카드납부

온라인, 모바일, 자동이체, 카드납부 등 다양한 납부 수단이 준비되어 있어 편리하게 낼 수 있습니다.

방법 설명
인터넷 납부 위택스 또는 정부24 이용
모바일 납부 서울시는 ‘서울시 STAX’ 앱, 기타 지역은 ‘지방세 모바일’ 앱 사용
CD/ATM기 납부 농협, 국민, 신한, 우리은행 등 ATM 이용
ARS 납부 1544-1414 등 ARS로 신용카드 납부 가능
은행 창구 납부 고지서를 지참하여 은행 방문 납부
자동이체 매년 6월~7월 중 신청 가능, 납부일에 자동 출금

 

신용카드 분할납부도 가능하며, 일부 카드사는 무이자 혜택도 제공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가산세, 자동이체, 납부확인서

Q1. 재산세 납부일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

→ 기한 내 미납 시 3%의 가산금이 부과되며, 장기 체납 시 압류 등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Q2. 납부확인서는 어디서 발급받나요?

→ 정부24 또는 위택스에서 납부 후 즉시 출력 가능합니다.

 

Q3. 자동이체 신청은 언제 하나요?

→ 보통 5월~6월 사이에 사전 신청해야 하며, 이후 해마다 자동 납부됩니다.

 


 

2025년 재산세 납부일7월과 9월로 나뉘며, 소유한 부동산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부24와 위택스를 이용하면 고지서 없이도 간편하게 조회 및 납부가 가능하니 놓치지 마시고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자동이체와 모바일 납부 기능을 활용하면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적극 추천드립니다.

 

 

 

정부24

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 정부혜택(보조금24), 정책정보/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조회·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

plus.gov.kr

 

wetax

지방세, 위택스에서 더욱 더 쉽고 편리한 서비스를 만나 보세요

www.wetax.go.kr

 

 

반응형